프로그래밍 공부 일지

2024년 10월 26일 프로그래밍 언어론 공부 4일차

김씨 달팽이 2024. 10. 27. 02:54
반응형

교재 : 프로그래밍 언어론, (우균, 김진욱 공저), 방통대 교재

공부 분량 : p. 99 ~ p. 128(제 3장 : 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

 

 오늘은 프로그램 패러다임에 대해서,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 프로그램 패러다임에는 명령형, 절차형, 함수형, 논리형, 선언적, 객체지향 이렇게 있다. 책에 소개되지 않은 프로그램 패러다임도 존재한다고 들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단 하나의 프로그램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복수의 패러다임을 지원하고 있다. 그 뒤로는 명령형 프로그래밍, 절차형 프로그래밍, 구조화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선언적 프로그래밍과 논리 언어의 프로그램 예를 보여주면서 상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오늘 여기서 논리형 프로그래밍을 조금 접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좋았다. 언어 처리, 인공지능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Prolog 언어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조금이라도 볼 수 있어서 재밌었다. 논리식 언어의 구조는 사실, 규칙, 질의로 되어있다. 질의를 통해 논리 언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고 한다. 이런 식의 구성과 작동을 처음 봐서 나중에 어떻게 쓰는지, 활용하는지 공부해보고 싶다. 

 

 오늘 각 패러다임에 대한 설명은 따로 하지 않을 생각이다. 나중에 계속 보면서 머리속에 정리해야 하는 것이고, 지금 내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정리를 했다가 이 글을 보는 사람한테 혼선을 주고 싶지 않다. 

 

 패러다임 변화의 배경으로는 응용 도메인과 프로그램 구성 방식, 계산 모델의 변화가 있다. 

 

 오늘은 너무 늦게 공부를 해서 내용을 이해하고 머리에 넣기에는 좀 힘들어서 그런지 잘 모르겠다. 그래도 작심삼일은 넘겼다. 

반응형